한전KDN 연봉, 채용, 복지정보 분석

안녕하세요~ 방구석한량입니다.

개인적인 일이 있어 포스팅을 한동안 못하였네요 ㅠ

그나마 블로그라도 하고는 있는데 유튜브는 도저히 할 시간이 안나서 죄송스러울 따름입니다.

오늘은 전력그룹사의 IT분야를 책임지고있는 한전KDN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 

일반현황

 

일반현황에서는 설립목적과 설립근거 및 본사 소재지 등에 정보를 참고해볼 수 있겠습니다.

 

임직원수

다음으로 한전KDN의 임직원수는 몇명이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

 

자료를 보면 임원수부터 정규직, 무기계약직 인원을 구분해 놓은 것이고, 

이를 합친 전체 직원수는 하단의 임직원총계(A+B+C)를 보면 연도별 총 인원수를 알 수 있습니다.

총인원은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2900명 정도 되는 큰규모의 공기업(공공기관) 입니다.

참고로 여성직원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70~360명 정도로 전체의 약10% 내외의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

남녀성비가 90대10이면 굉장히 불균형하다고 볼 수 있겠군요.

 

신규채용

표 맨 위의 '총 신규채용' 이 연간 신규채용 인원입니다.

여성의 채용인원은 30%전후의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

지방대 비율은 매년 42~70%의 비율을 채용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.

 

초봉

다음으로 신입사원의 초봉은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자료를 보면 특별한 경우가 아니라면 매년 조금씩 초봉이 상승해오고 있음을 알 수 있습니다.

이는 대졸 사무직 곤미필자 기준으로 작성된 것이므로,

군대대를 다녀온 경우에는 1~2호봉이 추가되어 위 금액보다 좀더 높은 급여를 받게 됩니다.

참고로 1년차엔 성과급이 안나오는데,  성과급을 제외한 초봉이 31,700만원이면 공기업 중에는

공공기관 전체중에서는중간~중간 이상일 것으로 추정됩니다.

 

평균연봉

이번엔 연봉정보 중 평균연봉에 대한 정보입니다.

초봉도 중요하지만 평균연봉은 입사 후 연봉의 상승률을 예상해볼 수 있는 중요한 정보입니다.

 

표가 복잡하게 되어있는데, 총급여를 기본급부터 수당, 성과급 등으로 분류한 것이고

우리가 확인할 것은 총합계인 1인당 평균보수액을 보면 되겠습니다.

약 78,000만원 정도 전후로 평균연봉이 나타나 있습니다.

그럼 이 연봉은 언제쯤 받을수 있는지도 중요하겠죠?

그걸 알기 위해선 표 밑에 부분의 평균근속연수를 같이 보면 됩니다.

퇴직과 신규채용 때문에 매년 조금씩 변하긴 하지만 평균근속연수는 대략 11년 정도로 보면 되겠군요

그러므로 입사11년차 정도 되었을 때의 연봉이겠구나~ 라고 대략적으로 추정해볼 수 있습니다.

주의할 것은 이 금액은 전직원의 평균치이므로 부서평가에 따른 성과급 차이,

일근이냐 교대근무냐 등등에 따른 수당차이로 인하여 직원별로 개인차는 당연히 존재합니다.

 

 


복지

마지막으로 복지쪽을 살펴보겠습니다. 복지쪽은 휴가기간에는 리조트 등 휴양소 제휴

창립일 등에 기념품지급 등 자잘한 복지들도 있지만, 잡다한 부분은 생략하고

주로 관심가질만한 금전적이고 실질적인 복지사항들을 가져왔습니다.

- 보육비의 경우 일정규모 이상의 공공기관은 직장어린이집을 운영하고, 

지사가 많거나 규모가 작은 경우 보육시설과 제휴를 맺거나 다른공공기관과 연합하여 어린이집을 제공하기도 합니다.

- 학자금은 보통 자녀의 고등학교 수업료까지는 지원금이 나오고,

대학교의 경우 등록금을 무이자 또는 저리로 대출해주는 제도를 둡니다. 

기관에 따라 학점제한을 두어 지원하기도 합니다.

- 주택자금지원의 경우 주택매입 또는 전세,임차 시 자금의 일부를 저리로 대출해주는 제도입니다.

기관마다 금액과 이율은 차이가 있습니다. 자금지원 외에 추가로 사택을 운영하는 기관도 많습니다.

- 의료비 및 건강검진비의 경우 직원의 건강검진비를 지원해주거나 의료비를 지원해주는 사항으로

기관마다 대부분 건강검진의 지원은 있지만 의료비에 대해서는 차이가 있습니다.

- 생활안정자금은 직원에게 복지차원에서 일정금액을 한도로 낮은이율로 대출을 해주는 제도입니다.

이 제도는 기관에따라 금액한도, 이자율에 차이가 있으며, 제도 자체를 시행하지 않는 기관들도 있습니다.

- 경조비 및 유족위로금은 결혼, 출산, 가족사망 등 직원의 경조사 발생 시 회사에서 지원하는 금전적 복지입니다.

마찬가지로 기관마다 금액과 지급기준에 차이가 있습니다.

- 마지막으로 선택적 복지제도는 보통 복지포인트라고 알려져있는 제도를 말합니다.

이 역시 기관마다 지급액이 다르지만, 술집 등 업종제한이 있는건 공통사항입니다.

공공기관 취업에 관심이 있는분들에게 도움이 되었으면 좋겠습니다.

출처 : 회사 홈페이지, ALIO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